life(인생) 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1:09
본문
Download :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hwp
저자가 먼저 공부했던 日本 에 상대하여도 마찬가지였다 한다. 물론 이 책이 한국에 관련되어만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한국인들도 몰랐던 한국인의 장점을 수도 없이 끄집어내고 있다. 그의 세상을 보는 가치관, 인생관, 살아온 삶의 방식 등을 보면 한국 이야기 또한 충분히 타당한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구다라풍’이라고 부르는 게 그것이다. 동시에 한국인이라 서의 어리석음도 깨닫게도 해주지만. 먼저 한국인으로서의 자존감은 외국인을 통해 그것도 세계적 명문대 박사이자 학자인 훌륭한 분의 연구 결과라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이 한국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한국인들도 몰랐던 한국인의 advantage(장점) 을 수도 없이 끄집어내고 있다. 이 책은 한국인으로서의 자존감을 살려 준다. ‘구다라’는 ‘대국’이라는 뜻으로 日本 이 백제를 큰 나라로 높여 부르는 말이었다. 동시에 한국인이라 서의 어리석음도 깨닫게도 해주지만. 먼저 한국인으로서의 자존감은 외국인을 통해 그것도 세계적 명문대 박사이자 학자인 훌륭한 분의 연구 결과라는 것이다.hwp( 64 )
다. 한국의 먼 옛날부터 지금 현시대 까지 우리나라의 저력과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intro 하고 있는 글을 알게 된 것은 행운이라는 생각마저 든다. 저자는 예리하다. 미국인 저자가 이름도‘이만열이라는 한국 명을 지어 한국인도 알지 못했던 한국을 너무도 잘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명 받았는데 그 이유를 서평 식으로 느낀 점에서 소개했고 앞으로 살아나갈 때 누구를 만나고 어디에 방향을 두고 살 것 인지의 중요성을 함께 나누고 싶은 점을 인문학의 중요성과 연결해서 제시했다. 묻혀 있던 자신의 advantage(장점) 이 발견되기까지 수도 없이 많은 인연이 있었을 것인데 그중 자신을 무척이나 인정하는 이를 만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 신뢰가 간다.
-느낀 점 및 서평
미국인 저자가 이름도‘이만열이라는 한국 명을 지어 한국인도 알지 못했던 한국을 너무도 잘 intro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명 받았는데 그 이유를 서평 식으로 느낀 점에서 intro 했고 앞으로 살아나갈 때 누구를 만나고 어디에 방향을 두고 살 것 인지의 중요성을 함께 나누고 싶은 점을 인문학의 중요성과 연결해서 제시했다. 그래서 더 신뢰가 간다. 묻혀 있던 자신의 장점이 발견되기까지 수도 없이 많은 인연이 있었을 것인데 그중 자신을 무척이나 인정하는 이를 만났다는 것이다.
다음은 우리 한국 문화에 대한 이야기인데 어디를 가나 문화 안내가 극히 상식적인 수준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고대 日本 의 ‘백제 따라하기’ 열풍을 부르는 말이다. 한국인들은 이것을 ‘한류’라고 불렀다. 그의 세상을 보는 가치관, life(인생) 관, 살아온 삶의 방식 등을 보면 한국 이야기 또한 충분히 타당한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