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론과 공리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02:57
본문
Download : 의무론과 공리주의.hwp
선의지란 옳은 행위를 오로지 그것이 옳다는 이유 때문에 선택하는 의지이다. 옳은 행동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하는 철학자들은 옳은 것을 행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나타나나고 주장한다.…(drop)
,인문사회,레포트
의무론과공리주의97
설명
순서
칸트의 의무론과 벤담, 밀의 공리주의에 대해서 설명(說明)했습니다.
2. 칸트의 의무론
(1) 선의지와 의무의식
칸트의 윤리설은 ‘선의지(good will)라는 定義(정의) 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그 밖에 의지와 상관 없는 것은 모두 도덕의 영역 너머에 속하게 된다 “선의지 이외에 무조건적으로 선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이 세상에서는 물론이고 이 세상 밖에서까지도 도무지 생각해 볼 수가 없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옳은 행동과 최고선이 윤리학의 가장 기본적인 관심영역이라고 생각해 왔다.칸트의 의무론과 벤담, 밀의 공리주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최고선에 가장 큰 중요성을 부여하는 철학자들은 일단 최고선이 인식되면 옳은 행위가 자동적으로 확인되고 또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세상 안에서나 이 세상 밖에서도 무제약적 선한 것. 즉 무조건적으로 선한 것은 오로지 선의지 뿐이라고 칸트는 주장했다. 극히 최근에 이르기까지 이 같은 定義(정의)는 윤리학을 연구하는 두 가지의 중요 접근방법을 충족시킬 수 있었다. 쉽게 말해 선의지란 착하게 살려고 하는 의지이며 양심이다. 이들의 관점을 고려하면서 우리는 윤리학을 다음과 같이 定義(정의)할 수 있다아 윤리학은 “옳은 것, 좋은 것에 대한 연구와 함께 윤리학적 용어와 theory(이론) 그리고 신념들에 대한 논리적인 analysis을 중요 과제(problem)로 삼는 학문”인 것이다.의무론과공리주의97 , 의무론과 공리주의인문사회레포트 ,
의무론과 공리주의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의무론과 공리주의.hwp( 54 )
Ⅰ. 서론 -------------------------------- 2
Ⅱ. 본론
1. ‘옳은 것’과 ‘좋은 것’----------------------- 2
2. 칸트의 의무론 ------------------------- 2
(1) 선의지와 의무의식
(2) 인간의 이중적 사회성
(3) 정언명법과 가언명법
(4) 도덕과 법과 국가의 관계
(5) 목적의 왕국
(6) 칸트의 윤리설이 남긴 문제
3. 벤담, 밀의 공리주의 ----------------------- 4
(1)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2) 밀의 질적 공리주의
4. 의무론적 윤리설과 목적론적 윤리설의 비교 ------ 5
(1) 의무론적 윤리설
(2) 목적론적 윤리설
Ⅲ. 結論(결론) --------------------------------- 7
※bibliography※
Ⅱ. 본론
1. ‘옳은 것’과 ‘좋은 것’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은 윤리학을 ‘옳은 것’과 ‘좋은 것(선)’에 관란 연구라고 定義(정의)해 왔다.” 라고 칸트는 주장했다. 무제약적인 선과 반대되어 제약적인 선이란 건강, 쾌락, 권력, 돈 등과 같은 것으로 이들 모두는 선의지에 바탕할 때 좋은 것이 된다 칸트는 직각론적 윤리설을 바탕으로 선의지에 대해 定義(정의)하였다.
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의 경우에는 선이 옳은 행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며, 후자의 경우에는 옳은 행동이 좋은 것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