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학기 언어와생활 교재 전 범위 核心(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00:20
본문
Download : 20191_핵심요약노트_국문2_언어와생활.pdf
Download : 20191_핵심요약노트_국문2_언어와생활.pdf( 14 )
제5장 번 역





- 표현적 동기: 통신 언어가 지니는 여러 가지 감정 표현의 번잡성과 전달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동기(예: 글자나 기호, 숫자 등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려서 느낌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것, 다양한 이모티콘을 사용하여 감정표현을 하는 것)
제8장 호칭과 지칭
전자 통신에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글말과 다양한 시각적 기호
- 경제적 동기: 경제적 동기는 통신에서 대화를 빨리 진행하고자 하는 동기, 가장 강력하고 기본적인 동기
설명
② 음성언어는 통신 언어의 대상에서 제외
2.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본 통신언어
③ 전자통신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시각적 표현 통신언어의 범주에 포함
제7장 경어법과 언어예절: 실제
2019년 1학기 언어와생활 교재 전 범위 核心(핵심)요약노트
제9장 인사 예절
② 문어 의사소통의 일반적 property(특성)
- 발신이 이루어지는 시점(글이 완성되는 시점)과 수신되는 시점(읽히는 시점)이 연속선상에 놓이기 어려움
제1장 통신 언어
제4장 북한의 언어
언어와생활,언어,생활,방통대언어와생활,방송대언어와생활,언어와생활시험,방통대언어와생활,방송대언어와
③ 통신 의사소통의 구어 의사소통적 property(특성)
제2장 성별 언어
② 통신 언어의 비규범성은 구어 의사소통의 효과(效果)를 얻기 위한 몇 가지 동기에서 비롯된 결과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1. 통신언어의 槪念
- 유대 강화 동기: 나이, 직업, 성별, 취미, 기호 등에서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여 자기들끼리의 유대를 강화하고자 하는 동기
- 발신자와 수신자가 고정되지 않음
① 통신은 주로 문자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달수단이라는 측면에서만 보면 통신 언어는 문어라고 할 수 있음
제3장 사전의 언어
- 중략 -
- 발신과 수신이 연속성 혹은 동시성을 가짐
순서
제1장 통신 언어 제2장 성별 언어 제3장 사전의 언어 제4장 북한의 언어 제5장 번 역 제6장 경어법과 언어예절: 이론 제7장 경어법과 언어예절: 실제 제8장 호칭과 지칭 제9장 인사 예절 제10장 서 식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 발신자(필자)와 수신자(독자)의 역할 고정
① 누리망 , 휴대전화, PDA 등과 같은 전자 통신에 쓰이는 언어
3. 통신 언어의 일반적 특징
- 의사소통의 방향이 ‘필자 → 독자’의 일방향성을 가짐
① 비규범성(일탈성, 변칙성): 편지나 만화와 같이 구어적 양상을 보이는 문어에서 이미 observe되던 것으로 통신의 발달과 함께 새로이 나타난 것은 아님. 다만 통신 언어가 막강한 전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규범성이 두드러지게 된 것일 뿐
- ‘필자 ↔ 독자’의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음
제10장 서 식
제6장 경어법과 언어예절: 理論
제1장 통신언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