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al Monitor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6:13
본문
Download : FEtal Monitoring.hwp
(3) 가변성 (variability)
태아의 교감신경계(맥박 증가)와 부교감 신경계(심박동 감소)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증가된 변화는 간호 중재를 요하지 않지만, 감소된 변화는 의사의 지시를 따른다.
자궁수축과 관련하여 기저심음이 증가되는 것을 acceleration이라고 하고 기저심음이 감소된 것을 deceleration이라고 한다.
무변이는 태아의 가사상태를 말하고 FHR의 현저한 변이는 태아의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다.
① 기저심음 증가 (a…(투비컨티뉴드 )
Ⅲ. 태아 심음 양상의 해석
다. ( 자세 변경시 동맥의 압박이 완화될 수 있다 )
- 기록지를 재검사하고 지속적으로 자세히 觀察(관찰) 함으로써 변화양상을 확인한다.
·양상 : 현저한 변이 >25회/분, 평균(average) 6-25회/ 분, 최저<6회/분
(4) 주기적 변화
자궁수축과 관련하여 FHR의 변화가 일어났을 때 이를 주기적이라고 한다.
자궁 수축이 없을때나 수축과 수축 사이에 10분간 FHR...
레포트/의약보건
1. 기저태아 심음 (base line FHR)사정





FEtal Monitoring
설명
,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FEtal Monitoring.hwp( 34 )
순서
Ⅲ. 태아 심음 양상의 해석 1. 기저태아 심음 (base line FHR)사정 자궁 수축이 없을때나 수축과 수축 사이에 10분간 FHR... , FEtal Monitoring의약보건레포트 ,
Ⅲ. 태아 심음 양상의 해석
1. 기저태아 심음 (base line FHR)사정
자궁 수축이 없을때나 수축과 수축 사이에 10분간 FHR를 측정(測定) 하여 범위를 결정한다. (자세 변경은 대동맥과 대정맥에 대한 자궁의 압박을 완하시킨다.)
- 산소 마스크로 10 L/분으로 산소를 공습한다. 120-160bpm이 정상
(1) 태아 서맥
·양상 : 기저 태아 심음이 10분 이상 120bpm 이하일 때
(경한 서맥 : 100-119/분, 심한 서맥 : 100회 이하/분)
·병태 생리학 : 태아의 선천성 심장 기형 등
·간호 중재
- 산모의 자세를 변경시킨다.
(2) 태아 빈맥
·양상 : 10분이상 분당 160bpm이상인 기본 심박수
(경한 빈맥 : 160-179회/분, 심한빈맥 : 180회 이상/분)
·병태생리학 : 태아 저산소증, 산부의 열, 불안, 조산, 약물관련, 태아 부정맥
·간호 중재
- FHR, 산부의 활력 증후와 자궁수축을 측정(測定) 한다. (지나친 자궁수축의 반응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
- 산부의 자세를 변경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