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격의 무표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17:50
본문
Download : 국어의격의무표지성.hwp
순서
■ 격의 무표지성, ■ 조사와 관련된 언어 현상, 다운로드 : 30K






국어,국문,격,문표지성,조사,인문사회,레포트
■ 격의 무표지성, ■ 조사와 관련된 언어 현상, FileSize : 30K , 국어의 ~격의 무표지성인문사회레포트 , 국어 국문 격 문표지성 조사
국어의 ~격의 무표지성
Download : 국어의격의무표지성.hwp( 88 )
설명
■ 격의 무표지성
■ 조사와 관련된 언어 현상
격의 무표지성 국어 특수조사가 체언의 여러 가지 격에 통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국문법 초기부터 착목되어 왔고, 그에 따라 논자들은 ‘통용조사’(이상춘:1925), ’조격(助格). ‘첨격“(添格)(홍기문:1947) ‘통용격’(정인승:1956), ‘두루자리’(통용격)(김형규:1966), ‘통격’(common case)(이기백):1975) 등의 며다양한 명칭으로 불러왔고 이러한 명칭들은 특수조사의 격 통용성을 지칭하는 것들이다. (NP+locative marker) b. 여기부터 비가 온다. 그런데 문제는 특수조사가 단독으로(격표지 없이) 체언의 어느 격 자리에 놓였을 때, 마치 특수조사가 격표지를 대신하여 격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오인한다는 점이다. 우선 특수조사가 격표지의 자리에 단독으로 쓰인 예부터 살펴보면 (1) a. 철수가 간다 (NP+subjective marker) b. 철수부터 간다. (NP+Z-del) (2) a. 노래를 부른다. c. 노래만 부른다. (NP+X-del) c. 철수만 간다. (NP+Y-del) d. 철수도 간다. 즉…(skip)
레포트/인문사회
다. (NP+accusative marker) b. 노래부터 부른다. d. 노래도 부른다. (4) a. 철수에게 주어라. (NP+dative marker) b. 철수부터 주어라. c. 철수만 주어라. d. 철수도 주어라. 문 (1)~(4)에서 각 문 a는 체언 아래에 격표지가 연결된 것이고, b, c, d는 그 자리에 특수조사 X, Y, Zfb가 연결된 문이다. d. 여기도 비가 온다. (1)은 주격 표지, (2)는 대격 표지, (3)은 처격 표지, (4)는 여격 표지의 자리에 가가 특수조사가 분포되어 잇는 예인데, 이와 같이 격표지 없이 특수조사 단독으로 여러 가지 격에 통용되는 경우 그것이 여러 가지 격을 표시하는 것으로 오인하기 쉽다. c. 여기만 비가 온다. (3) a. 여기에 비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