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 명작 만화 슬램덩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23:17본문
Download :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hwp
01. 서론.
02. 본론
- 사회적 현실의 창조: 文化로서의 조직
막무가내이지만 여자 앞에만 가면 작아지는 천부적인 운동실력을 가진 강백호, 자기밖에 모르고 자기 잘난 맛에 살며 그야말로 천하무적의 농구실력을 가진 서태웅, 농구를 사랑하고 농구에 모든 것을 건 남자 채치수, 방황하는 영혼이었지만 농구의 센스만은 훌륭한 송태섭,
①들어가는 말
Download :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hwp( 96 )
조직론,슬램덩크
극중 북산고교 농구팀은 막말로 허접한 팀이다.
03. conclusion .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755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A1%B0%EC%A7%81%EB%A1%A0%5D%20%EC%A1%B0%EC%A7%81%EB%A1%A0%EC%9D%98%20%EA%B4%80%EC%A0%90%EC%97%90%EC%84%9C%20%EB%8B%A4%EC%8B%9C%EB%B3%B4%EB%8A%94-7551_01.jpg)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755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A1%B0%EC%A7%81%EB%A1%A0%5D%20%EC%A1%B0%EC%A7%81%EB%A1%A0%EC%9D%98%20%EA%B4%80%EC%A0%90%EC%97%90%EC%84%9C%20%EB%8B%A4%EC%8B%9C%EB%B3%B4%EB%8A%94-7551_02_.jpg)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755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A1%B0%EC%A7%81%EB%A1%A0%5D%20%EC%A1%B0%EC%A7%81%EB%A1%A0%EC%9D%98%20%EA%B4%80%EC%A0%90%EC%97%90%EC%84%9C%20%EB%8B%A4%EC%8B%9C%EB%B3%B4%EB%8A%94-7551_03_.jpg)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7551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A1%B0%EC%A7%81%EB%A1%A0%5D%20%EC%A1%B0%EC%A7%81%EB%A1%A0%EC%9D%98%20%EA%B4%80%EC%A0%90%EC%97%90%EC%84%9C%20%EB%8B%A4%EC%8B%9C%EB%B3%B4%EB%8A%94-7551_04_.jpg)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7551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602/%5B%EC%A1%B0%EC%A7%81%EB%A1%A0%5D%20%EC%A1%B0%EC%A7%81%EB%A1%A0%EC%9D%98%20%EA%B4%80%EC%A0%90%EC%97%90%EC%84%9C%20%EB%8B%A4%EC%8B%9C%EB%B3%B4%EB%8A%94-7551_05_.jpg)
- 이해관계, 갈등 그리고 권력: 정치체계로서의 조직
1. 능남고교와 북산고교의 팀文化
내가 이 만화를 이번 기말 term paper 주제로 정하게 된 이유는 이번 주제를 여러 가지 생각해보면서 슬램덩크 자체의 만화의 매력도 매력이지만, 북산, 산왕, 해남, 산양, 능남 등의 다양한 팀(조직)으로서의 매력을 새롭게 생각해 보았기 때문이다.
순서
01. 서론. - 들어가는 말. 02. 본론 - 이해관계, 갈등 그리고 권력: 정치체계로서의 조직 - 사회적 현실의 창조: 문화로서의 조직 1. 능남고교와 북산고교의 팀문화 2. 산왕공고와 북산고교의 팀문화 - 학습과 자기조직화: 두뇌로서의 조직 1. 북산고교의 이중고리 학습 2. 북산고교의 홀로그래픽적 시스템 03. 결론. - 시사점.
1.서론
2. 북산고교의 홀로그래픽적 시스템
다케히코 이노우에라는 명화백의 손에서 탄생된 이 만화는 이후 거대한 일본 만화 시장에서 여러 아류 캐릭터들을 재생산 시킬 만큼 일본의 애니메이션 시장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도 그 파급력이 엄청난 만화였다.
[조직론] 조직론의 관점에서 다시보는 명작 만화 슬램덩크
- 시사점.
설명
- 학습과 자기조직화: 두뇌로서의 조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북산고교의 이중고리 학습
2. 산왕공고와 북산고교의 팀文化
다.
만화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또는 만화책을 좋아하지 않아도 스포츠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봤을 만화책 슬램덩크. 나는 위 두 가지 유형의 사람에 모두 속하기 때문에 물론 슬램덩크 만화를 수도 없이 봤다.
- 들어가는 말.
그리고 슬램덩크내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누구보다 뛰어난 농구실력을 가졌지만 부상 후 불량靑少年의 길을 걷다가 다시 바스켓맨의 길로 돌아오는 포기를 모르는 남자 정대만. 슬램덩크는 이 5명의 이야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90년대 초반 일본의 <소년점프>에 스타트하면서 이미 출간된 지 20여년이 흘렀지만 아직까지도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고, 속편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을 만큼 만화계의 명작 중의 명작이라 할 수 있다. 언제 다시 봐도 재밌는 슬램덩크는 기본적으로 북산고교의 농구팀의 개성 넘치는 5명의 캐릭터를 기본으로 하는 만화이다. 나는 팀이 완성되기 전에 와해 될 뻔 한 많은 고비들을 넘기고도 전국체전이 스타트 될 때 도내 넘버원 센터 채치수의 원맨팀이라는 평가를 받던 북산고교가 어떻게 하나의 팀으로서 완성이 되었는지에 대해 또한 전국 최고의 강호라 평가받던 산왕을 이기는 걸로 이 만화는 끝이 나게 되는데, 그 허접했던 북산고교가 어떻게 산왕이라는 거대한 산을 넘게 되는가를, 각 팀에 반영된 조직론의 理論들을 지금부터 조직의 8가지 이미지(저자 : 가레스 모르간)라는 책의 여러 관점을 이용해 analysis, 서술해 봄으로써 내가 좋아하는 만화 슬램덩크를 다시 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