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공공구매 혁신 분리발주가 최우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1:20
본문
Download : 20060329.jpg





순서
SW 공공구매 혁신방안이 SW업계에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opinion은 7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발주기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10%)이 뒤를 이어 SW업계와 발주기관의 상생 정책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전자신문이 28일 국내 SW·IT서비스 및 SW협단체 50명의 최고경영자(CEO)와 주요 임원을 대상으로 최근 정보통신부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한 ‘SW 공공구매 혁신방안’에 관해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설명
SW 공공구매 혁신 분리발주가 최우선
이는 SW업계가 SW 분리 발주가 이뤄지면 나머지 혁신 Task 를 해결할 수 있는 구심점이 마련될 것으로 업계가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헌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은 “대통령까지 나서 SW 공공구매 혁신방안을 강조, SW업계에서 갖는 기대감이 크다”며 “이번 혁신안에 따른 구체적인 세부방침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프트웨어(SW) 분리 발주가 정부의 SW 공공구매 혁신방안 중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Task 로 꼽혔다.
레포트 > 기타
SW 공공구매 혁신 분리발주가 최우선
김익종기자@전자신문, ijkim@
SW 공공구매 혁신 분리발주가 최우선
이번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질문에는 46%가 ‘가시적인 效果가 나타날 것’이라고 답한 반면, 46%가 ‘보통이다’, 나머지 10%는 ‘效果가 미미할 것’이라고 응답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를 보였다.
SW 공공구매 혁신 분리발주가 최우선
Download : 20060329.jpg( 53 )
다.
이번 조사에서 정부의 SW 공공구매 혁신방안 중 응답자 58%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Task 로 SW 분리 발주를 꼽았고, 이어 △조달가격 산정 시 최빈가 또는 가중평균(average)치 적용(14%) △시스템 구축 후 1년 이내 유지보수료 지급(8%) △하도급계약 시 발주기관에 사전 승인(8%) △굿소프트웨어(GS) 인증 제품과 중소기업 컨소시엄 제안서에 가산점 부여(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부 정책이 일과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opinion도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