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출석수업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6:13
본문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1_고전의이해와감상.pdf
제5장 시조(時調)
② 전하는 작품 모두 향찰로 표기되어 있음
① 현전하는 신라 향가 14수 가운데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은 4구 단연형이고 <처용가> 등은 4구 2연형이며 이른바 4구체 계열로 길이가 짧은 것들인데, 이 작품들의 발상과 표현은 민요와 유사함
<3장 출제예상문제>
2. 민요적 전통과 기능의 전이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1) 사뇌가계 향가
[해설] 삼국유사에는 신라 시대의 향가 14편이 수록되어 있따
제6장 가사(歌辭)
① 삼국유사에는 신라 시대의 향가 14편이 수록되어 있음
③ 4구체 계열의 향가는 민요적 성격을 지니므로 민요계 향가라고 지칭할 수 있음
- 중략 -
1. 삼국유사에 남은 신라 노래의 흔적과 향가 이해를 위한 전제
제4장 고려속요(高麗俗謠)
3. 창작시의 전통과 사뇌가계 향가의 형식
제3장 향가





제3장 향가(鄕歌) 제4장 고려속요(高麗俗謠) 제5장 시조(時調) 제6장 가사(歌辭)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④ 향찰이라는 표기 방식을 근거로 현전하는 작품들을 범칭하는 것이지 특정 갈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음
[정답] 1
1) 민요계 향가
① <혜성가>, <모죽지랑가>, <원앙생가>, <원가>, <제망매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등은 10구체 계열이며 민요계 향가와는 대조적임
④ 도이장가
제3장 향가(鄕歌)
③ 균여전
고전의이해와감상,방통대고전의이해와감상,방송대고전의이해와감상,고전의이해와감상시험,고전의이해와감상요약,고전의이해와감상출석수업대체
설명
③ 향가라는 명칭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향찰로 표기된 우리말 노래를 지칭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임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③ 사뇌가계 향가는 서정시의 정연한 형식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임
① 삼국유사
2021년 2학기 고전의이해와감상 출석수업대체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국문1_고전의이해와감상.pdf( 62 )
② 민요계 향가와 달리 창작시적 전통에 기반을 둔 작품을 사뇌가향가라고 지칭할 수 있음
⑤ 풍요도 노동요에 기반을 두었으나 불교적 공덕가로 기능을 전이하여 새로운 노래를 생성했다고 할 수 있음
② 보현십원가
1) 향가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
④ 서동요는 전래동요의 발상과 표현을 사용했으나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언하는 참요로 기능을 함
순서
1. 다음 중 신라 항가 14편이 수록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⑥ 민요계 향가는 구술행위 중심의 민요적 성격과 문자행위 중심의 창작시적 성격을 공유하면서 우리 문학사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노래로 이해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