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 이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6 06:27
본문
Download : 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이상.hwp
바흐친이나 토도로프, 허천이나 워, 칼리니스쿠, 제임슨, 블룸, 에코 등의 theory(이론)을 통해 이상 문학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논의한다.
순서
Download : 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이상.hwp( 33 )
레포트/감상서평
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 이상
이상 소설을 기호적, 담론적 차원에서 해체론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전위적이자 형식 experiment(실험)적 성격이 강하다.
위의 양상들을 각각 일상언어로 이루어진 자전적 글쓰기와 심층언어로 이루어진 무의식적 글쓰기, 메타언어로 이루어진 상호텍스트적 글쓰기로 분류할 것이다. 재현론은 플라톤이 공화국에서 제기한 이래 문학과 현실과의 관계를 잘 대변해주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아 이는 대상과 언어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외시언어는 서술 기능의 의미로 해석되는데, 그것은 외시언어가 지시 기능에 의한 사…(투비컨티뉴드 )
이상 소설을 기호적, 담론적 차원에서 해체론적인 分析(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것은 언어든 문학이든 실재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재현하는 하나의 형식이기 때문일것이다
옐름슬레우는 언어를 외시언어와 함축언어로 설명(說明)했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적 글쓰기의 성격을 분명히 하기 위해 하위 형식으로 나뉘어 살펴보고자 한다. 피어스는 이를 상징, 도상, 지표로 구분했다. 기호가 대상을 드러내는 것과 문학이 현실을 모사하는 것은 한편으론 그 성격이 일치한다. 기호학에서는 대상체를 어떤 기호에 의해 대체시킴으로써 기호로 하여금 대상체가 지니는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재현(달리 표상이라고 번역)이라고 한다. 이상이 시도한 다양한 담론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이상 소설의 전반적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해보려고 한다
,감상서평,레포트
다. 이상 문학에서 글쓰기의 양상을 나누고 각각의 양상들에 속하는 텍스트들을 글쓰기 차원에서 해체론적으로 접근해 갈 것이다. 이상이 시도한 다양한 담론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이상 소설의 전반적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해보려고 한다 , 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 이상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Ⅰ. 서론
1. 연구사 및 문제제기
2. 연구를 위한 기본틀과 연구방법론
Ⅱ. 일상언어와 자전적 글쓰기
1. 사실의 기록(재현)과 삶의 예술처리
2. 심경의 표현과 결핵의 은유
Ⅲ. 심층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1. 자유연상과 의식의 흐름
2. 자동기술과 죽음의 강박 및 충동 표출
3. 내적독백과 피화자 分析
Ⅳ. 메타언어와 상호텍스트적 글쓰기
1. 패러디와 고전 설화의 현대적 차용
2. 혼성모방과 서구 문학의 몽타주
3. 인용 및 인유와 백과사전적, 또는 文化(문화)적 서술
Ⅴ. 結論
마지막으로 현대 사회에서 그 기능이 보다 확대되고, 또한 모던‧포스트 모던한 문학의 중심적인 주제의 하나인 상호텍스트적인 글쓰기가 있다아 크리스테바는 해체의 한 속성 으로 상호텍스트성을 꼽고 있는데, 이상 문학에서 상호텍스트성을 띠고 있는 작품들과 담론을 집중 검토하기로 한다.
Ⅱ. 일상언어와 자전적 글쓰기
일상 언어는 체험의 형상화 내지 생활의 재현 쪽에 보다 적합한 표현체계이다. 후기 산업사회에서 메타언어적 기능은 보다 확대되었는데, 이상은 인유나 패러디, 또는 혼성 모방 등의 상호텍스트적인 글쓰기를 감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