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님과 부처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18:51
본문
Download : 원불님과 부처님.hwp
그러나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어느정도 조숙되면 평소 욕심나는 경계에 있으되 그 경계에 담박하게 하기 위하여 소에게 맡겨 보는 단계가 있다아 즉 「아무리 욕심나는 경계를 대할지라도 끝까지 싸우는 정신…(drop)
이것은 보명의 목우도 제이도 초조와 제삼도 수제의 단계로서 이들에겐 마음의 고삐와 회초리의 두 방법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회초리에 역점을 두는 초조의 단계와 다음에는 소의 고삐에 역점을 두는 수제의 단계가 있어서 유념의 대중이 끊어지지 않는 상태가 바로 집심의 단계라 하겠으며 이 집심의 극치는 소를 버드나무에 매는 회수의 단계까지를 의미한다 하겠다. 여기에서 회... , 원불님과 부처님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원불님과 부처님.hwp( 53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이것은 보명의 목우도 제이도 초조와 제삼도 수제의 단계로서 이들에겐 마음의 고삐와 회초리의 두 방법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여기에서 회...
순서
다.






원불님과 부처님
이것은 보명의 목우도 제이도 초조와 제삼도 수제의 단계로서 이들에겐 마음의 고삐와 회초리의 두 방법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아 여기에서 회초리와 고삐는 마음단련의 가장 엄격하고도 철저한 수행방법으로 챙기고 심공 드리는 유념공부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아
따라서 념불 좌선을 할때와 일체때에 마음을 잘 붙잡아 외경에 흘러가지 않게 하기를 소 길들이는 이가 고삐를 잡고 놓지 않듯 하는 상태를 정산종사는 집심 이라고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