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co.kr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 verver8 | ver.co.kr report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 verver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verver8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3:09

본문




Download :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hwp




그러므로 l=20d 이면 @<=1°, l = 1m 이면 @<=1/4° ( 그리고 키홈에 의한 강도저하(응력집중)과 피로 파괴에 주의)
∎축 : 비틀림모멘트와 굽힘모멘트가 작용, 이에 대한 적절한 지름과 강도를 계산하여 설계.(최대전단응력이론과 전단변형에너지이론을 적용하여 강도를 설계.)

다. 우리의 설계포인트는 현재 엘리베이터가 존재않는다고 가정하고 원리만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여 각 요소들의 쓰임을 확실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모델에서 벗어나서 수업시간에 배운 기계요소들을 조합하여 자유롭게 설계하였다.
회전력에 의한 이의 굽힘 고려, 이에 따른 적절한 재료강도와 스플로킷의 지름, 이의 높이, 이의 개수 등을 결정.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체인(사일런트 체인) : 최대하중을 고려하여 체인의 피치와 폭을 고려하여 설계. 체인의 속도는 7m/s로 설정.스프로킷 휠의 지름은 미국식 규정으로 함. 원동기의 종류, 사용시간과 하중상태를 고려한 부하계수와 체인 폭 1인치마다 전달할 수 있는 전동력을 고려하여 체인폭을 설계.
∘축의 강성설계 ⇒ 터빈축, 중실축이므로 처짐량(d≦0.026~0.128mm/m 로 제한)


∎모터 : 모터축에 비틀림 모멘트와 굽힘모멘트 작용.그에 따른 모터축의 지름 설계.





∎축은 중실축으로 한다.
축의 위험속도(편심력에 의해 축이 처지게 됨)도 고려하여 설계.


설명
∎베어링 사이의 거리 : (굽힘강도와 처짐의 측면에서 제어하기위함) 굽힘 변형과 굽힘강도에 의한 베어링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 적절한 거리설계, 굽힘강도에 의한 설계(위 2개의 measure(방안) 고려하여 설계)




기계재료,엘리베이터의 설계,엘리베이터원리,엘리베이터

∎스플로킷 : 모터를 이용하여 스플로킷을 돌릴 때 모터의 축과 기어의 중심에 생기는 마멸현상과 열팽창현상 고려.
처음에는 새로운 기계요소를 설계하고자 여러 가지 기계구조를 살펴보다가,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운 부품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라는 기계를 선택하게 되었다. 기존의 모델에 비해 설계면에서 다 소 지저분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이 생길수도 있고 빠지는 부분이 생 길수도 있지만, 이를 통하여 좀더 확실히 배울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하에 새롭게 설계를 해보았다. 그런 후 최종적으로 기존의 모델과 비교.분석할 것이다. 그런 후 최종적으로 기존의 모델과 비교.分析(분석)할 것이다. 우리의 설계포인트는 현재 엘리베이터가 존재않는다고 가정하고 원리만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여 각 요소들의 쓰임을 확실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다.순서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3707_01.gif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3707_02_.gif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3707_03_.gif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3707_04_.gif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3707_05_.gif


처음에는 새로운 기계요소를 설계하고자 여러 가지 기계구조를 살펴보다가,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운 부품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라는 기계를 선택하게 되었다. 기존의 모델에 비해 설계면에서 다 소 지저분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이 생길수도 있고 빠지는 부분이 생 길수도 있지만, 이를 통하여 좀더 확실히 배울수 있을 것이라는 취지하에 새롭게 설계를 해보았다. 물론 중공축에 비하여 많은 재료가 들어가겠지만 중공축에 들어갈 가공비와 인건비(약간), 그리고 시공시의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중실축이 좀더 합리적이라고 판단.

Download : 기계재료 - 수직으로 물체를 이동시키.hwp( 87 )


∎기본적으로 재료는 연성.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축의 변형도 고려(l>>d 가 되면 비틀림응력이 허용치 이하라 할지라도 축 양 끝의 위상차인 비틀림각이 커져서 기어이의 물림이 어렵고 비틀림진동이 생겨서 동력전달에 무리가 생긴다. 하지만 기존의 모델에서 벗어나서 수업시간에 배운 기계요소들을 조합하여 자유롭게 설계하였다.
전체 7,40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ver.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