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왕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20:28
본문
Download : 태조왕건.hwp
935년 후백제의 왕실...
태조왕건
930년 태조는 고창(古昌: 지금의 안동지방) 전투에서 견훤의 주력부대를 대 파함으로써 비로소 군사적 우위를 차지하였다.
마침내, 936 년 왕실내분으로 혼란한 후백제와 일선군(一善郡: 지금의 善山)의 일리천(一利川)을 사이에 두고 최후결전을 벌여 후백제를 멸하고 후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935년 후백제의 왕실... , 태조왕건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그러나 천하의 왕건 태조도 943년 5월에 6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떳다. 935년 후백제의 왕실내분으로 왕위에서 축출된 견훤을 개성으로 맞아들여 극진하게 대우하였으며, 또 같은해 10월에는 신라왕의 자진항복을 받게 되 었다. 능은 현릉으로 그이 제 1비 신혜왕후 유씨가 함께 묻혀 있다
■ 훈호십조
태조는 후삼국의 통일을 이루며 통일 국가인 고려의 안전을 위해 죽기 얼마 전에는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를 내전으로 불러들여 〈훈요십조 訓要十條〉를 친수(親授)하여 그의 후계자들이 귀감으로 삼도 록 부탁하였다.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태조왕건.hwp( 92 )
930년 태조는 고창(古昌: 지금의 안동지방) 전투에서 견훤의 주력부대를 대 파함으로써 비로소 군사적 우위를 차지하였다. 이로써 후삼국통일의 주역이 될 가능성이 확실하여졌다.
〈훈요십조〉의 내용은
첫째, 불교를 진흥시키되 승려들의 사원쟁탈을 금지할 것.
둘째, 사원의 증축을 경계할 것.
셋째, 서열에 관계없이 덕망이 있는 왕자에게 왕위를 이을 것.
넷째, china(중국) 풍습을 억지로 따르지 말고, 거란의 풍속과 언어를 본받지 말 것.
다섯째, 서경(평양)에 1백일 이상 머물러 왕실의 안녕을 도모할 것.
여섯째, 연등회와 팔관회 행사를 증감하지 말고 원래 취지대로 유지할 것.
일곱째, 상벌을 분명히 하고 참소를 멀리하며 간언에 귀를 기울여, 백성의 신망을 잃지 말 것.
여덟째, 차령산맥 이남이나 공주강(금상)외곽출신은 반란의염려가 있으므로 벼슬을 주지말 것.-이것도 조작의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아홉째, 백관의 녹봉을 증감하지 말고,병졸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매년 무예가 특출한 사람에게 적당한 벼슬을 줄것.
열째, 경전과 history(역사) 서를 널리 읽어 옛일을 교훈삼아 반성하는 자세로 정사에 임할 것
이같은 훈요십조는 그의 정치사상을 엿보게 하는 귀중한 자…(skip)
930년 태조는 고창(古昌: 지금의 안동지방) 전투에서 견훤의 주력부대를 대 파함으로써 비로소 군사적 우위를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