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7:18
본문
Download :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hwp
예를 들면, 자녀에 대한 공동양육이 더욱 강조되는 맞벌이부
부의 경우에도 자녀양육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어머니에게 있다고 부부 모두가
인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어머니들은 부모됨을 주로 `자신이 누구인가` 와
연관시켜 생각하며, 아버지들은 부모됨을 주로 `자신이 행하는 어떤 것` 으로 생
각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난다(김승권 외, 2000). 즉 자신이 스스로를 definition 화하는
방식에 따라 특정한 행위 및 그 행위에 부여하는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는 상징적 상
호작용theory 의 core적 전제로서 자아감과 긍정적 자기평가뿐 아니라 자기
가치와 자기신념 역시 행동에 effect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징적 상호
작용theory 을 가정생활에 적용시킨다면, 가족을 사회적 집단인 동시에 상호작용
하는 자아와 정체성의 집합으로 definition 화함으로써, 가족원간의 관계가 형성 · 유
지 · 變化되는 양식 및 그에 effect을 미치는 여러 가지 環境 요인, 그리고 그것이
각 개인의 자아인식과 행위양식에 미치는 effect과 그 효능에 대한 문제를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김승권
외, 2000: 108).
(1) 비환원주의적 인간관으로서 인간은 그들이 부여하는 사물의 의미에 근거
하여 행동한다.
역할은 개인의 사회적 위치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서도 變化하며, 따라서 한 개
인에게 있어 역할은 `경력(car…(drop)
다.,인문사회,레포트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
Download :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hwp( 88 )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 ,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인문사회레포트 ,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가정생활복지를설명하는상징적상호작용론적관점
가정생활복지를 설명(說明)하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 가정생확복지를 설명(說明)하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상징적 상호작용` 이라는 용어는 1937년 블루머(H. Blumer)에 의해 처음 사용
되었고, 또 그가 이 theory 의 대표적 학자중의 한 사람이다. 상징
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에 기반해서 가정생활을 연구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
는 자아definition 의 측면은 `자존감` 또는 `자아존중감`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개
인의 자아에 대한 평가 정도를 뜻한다.
이러한 기본가정들을 살펴볼 때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은 사회구조가 행
위를 결정한다는 견해에 의문을 던지며 개인의 행위를 통해 變化가 가능하고 또
실제 變化하는 사회구조의 역동적 特性을 강조함을 알 수 있다
2) 가정생활복지에의 적용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의 definition 적 틀을 구성하는 core요소는 크게 정체성,
역할, 상호작용, 그리고 맥락 등으로 구분된다(유계숙 외, 1999:158). 먼저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정체성(identity)`은 역할에 대한 자기의미 또는 자신의
가치부여를 뜻한다. 실제 theory 의 기초는
그보다 20-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김승권 외, 2000: 108).
1)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의 definition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은 상징 , 즉 공유된 의미와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언
어적 · 비언어적 행동과 의사소통간의 연결에 초점을 둔다.
(5) 일단 발달된 자아definition 은 행동에 중요한 동기를 부여한다.
(6) 개인과 소집단은 그보다 큰 文化적 및 사회적 과definition effect을 받는다.
(7) 개인들은 일상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구조의 미세한 부분들
을 이루어 간다.
(2) 의미는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인간행동의 이
해는 그 행위의 동기 및 의미를 통해 파악된다
(3) 의미는 개인이 사물을 다루면서 사용하는 해석 과정을 통해 조정되고 수정
된다
(4) 개인들은 자아definition 을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
시킨다. 역할은 항상 관계 속에서
규정되므로, 이를테면 아버지역할은 어머니의 역할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소유와 그것을 유
지하려는 욕구는 행동의 강력한 동기가 되며, 역으로 행동 역시 자존감에 중요한
effect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로 `역할(role)`은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공유
된 규범으로서 그 역할에 요구되는 지식, 능력, 동기뿐만 아니라 행위의 적절한
범위와 방향, 느낌과 감정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를 가능하게 하여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future(미래)의 행동을 예측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